▲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 출전한 선수들. 김성집(역도) 한수안(복싱) 최윤칠(마라톤) 김창희(역도, 왼쪽부터) ⓒ대한체육회
[스포티비뉴스=신명철 기자] 홍콩으로 가는 배 안에서 역기를 들고 훈련한 김성집은 추상에서 올림픽 신기록인 122.5kg으로 1위를 차지했으나 용상에서 3위(145kg) 인상에서 4위(112.5kg)으로 밀리며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성집 외에 56kg급의 이규혁과 60kg급의 남수일이 각각 4위, 67.5kg급의 김창희가 6위에 입상했다. 역도는 일제 강점기 후반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남수일은 1939년 제10회 메이지신궁대회에서 세계기록으로 우승했고 김성집도 1940년 제11회 메이지신궁대회에서 역시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정상에 올랐다. 이들이 전성기였던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이 제2차 세계대전으로 열리지 않은 건 무척 아쉬운 일이다. <4편에서 계속>
 
1952년 2월 14일부터 25일까지 오슬로에서 열린 제6회 동계 올림픽에 한국은 선수단을 파견하지 못했다. 한국전쟁의 와중이라 선수단을 보낼 준비를 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해에 열린 헬싱키 하계 올림픽 파견 선수단 구성을 둘러싸고 체육계 분규는 여전했고 취임한 지 1년도 채 안 된 조병옥 회장은 체육인들이 벌이는 추태에 실망한 나머지 5월 15일까지 회장 직무를 그만두겠다며 물러날 뜻을 밝혔다. 대한체육회 집행부 총사퇴는 헬싱키 올림픽이 끝나고 난 뒤인 9월 27일 임시 평의원 총회에서 이뤄진다.

1952년 들어 휴전회담이 시작됐다고는 하나 남북이 대치했던 접촉 지역에서는 크고 작은 충돌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고 지리산 공비 토벌이 한창인 뒤숭숭한 때였으나 이해 1월 브런디지 IOC(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이 “한국이 헬싱키 올림픽에 참가하기를 바란다”는 뜻을 전해 왔고 국회는 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하라고 정부에 건의했다.

UN군의 일원으로 참전한 미군이 한국 선수단 파견 비용 모금 운동을 벌이고 해외 동포들의 성금이 들어왔으며 국회의원들은 세비의 10% 이상을 갹출했다. 5사단 장병들의 480만 원을 비롯해 국군 장병들이 성금을 모았고 미 8군 사령관 제임스 밴플리트 장군은 7,000달러씩 두 차례나 성금을 내놓았다. 정부는 여비를 부담하기로 했으며 서울대학이 140만 원, 내무부가 78만 원을 내놓는 등 거국적으로 성금이 모아졌다.

역도와 육상, 복싱, 레슬링, 승마, 사이클 등 모두 44명의 선수단이 최순주 단장 인솔 아래 6월 12일 부산 수영비행장에서 항공편으로 일본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머문 뒤 6월 30일 헬싱키에 도착했다. 헬싱키 올림픽에는 소련을 비롯해 공산화된 동구권 여러 나라들이 처음으로 출전했으나 중국(중공)과 북한은 출전하지 않았다.

1952년 7월 19일부터 8월 3일까지 열린 제15회 헬싱키 올림픽에서 한국은 역도 75kg급 김성집과 복싱 밴텀급 강준호가 각각 동메달을 차지했다. 김성집은 한국 선수로는 처음으로 올림픽 메달을 2개 차지한 선수가 됐고 마라톤에서는 최윤칠이 올림픽 기록을 깨뜨리고도 4위에 그쳤다.

김성집 외에 67.5kg급 김창희와 56kg급 김해남이 각각 4위, 60kg급 남수일이 11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 역도 7체급에서 미국(금 4 은 2)과 소련(금 은 3 동 1)이 압도적인 성적을 올렸다.

1954년 5월 1일부터 9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제2회 아시아경기대회에 한국은 이상백 단장 인솔 아래 6개 종목에 걸쳐 81명의 선수단을 파견했다. 대회 사상 첫 출전이었지만 금메달 8개로 종합 순위 3위를 차지했다. 1위는 금메달 38개의 일본, 2위는 금메달 14개를 딴 개최국 필리핀이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역도는 56kg급 유인호, 67.5kg급 조봉직, 75kg급 김창희, 82.5kg급 김성집, 90kg급 고종구가 금메달을, 75kg급 이시윤이 은메달을 수확하며 한국이 종합 3위를 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했다.

7개 체급에서 금메달 5개, 은메달 1개의 한국의 뒤를 이은 버마(오늘날의 미얀마)가 금메달 2개일 정도로 한국은 역도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뒀다.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 역도는 다시 한번 효자 종목으로 제 몫을 다했다. 복싱 밴텀급 송순천이 한국 선수 첫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한 가운데 67.5kg급 김창희가 3차례 올림픽 출전 끝에 동메달을 차지하는 기쁨을 누렸다. 이 대회에서 미국과 소련은 7체급 금메달을 4개, 3개씩 나눠 가졌다.

국제 대회 효자 종목 유도의 활약상은 1958년 도쿄에서 열린 제3회 아시아경기대회에서도 이어졌지만 아시아 역도 판도에 적지 않은 변화가 일어났다. 한국은 52kg급 이장우와 60kg급 이탁영이 금메달, 90kg급 황호동과 90kg 이상급 이영완이 은메달, 82.5kg급 박동철이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런데 이란이 금메달 3개와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로 한국에 앞섰고 일본은 금메달 1개와 은메달 2개, 동메달 4개로 한국을 바짝 따라붙었다.

1950년대 후반 조금씩 밀리던 역도는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3개 대회 연속 메달 행진이 끊겼다. 역도뿐만이 아니라 이 대회에서 한국은 1948년 런던 대회 이후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대회까지 유일한 올림픽 ‘노메달’ 기록을 남겼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