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보름 폭로'를 비롯한 최근 한국 빙상계 부끄러운 민낯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스포티비뉴스=박대현 기자] 한국 빙상계가 시끄럽다. 부끄러운 민낯이 하나둘 고개를 쳐든다.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편가르기(파벌)와 폭행, 성범죄와 따돌림 등은 낯선 단어가 아니다. 빙상계를 넘어 한국 체육계가 수십 년간 안고 있던 '곪은 상처'다. 최근 심석희(22, 한국체대)와 김보름(26, 강원도청)을 둘러싼 논란은 상처가 덧나 터진 꼴이다.

심석희 사태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다. 기회는 많았다.

14년 전 여자 쇼트트랙 국가 대표 팀 구타를 처음 폭로한 '변천사의 용기'부터 2008년 KBS가 보도한 체육계 성폭력 고발 파문, 2010년 국가 대표 상비군 코치의 여중생 성폭행 사건까지 발본색원할 기회는 적잖았다.

허나 그때마다 제대로 도려내질 못했다. 일벌백계보다 유야무야했다. 뒷일 운운하며 한 번 눈감아 주면 안 되겠냐는 말에 피해자도 고개를 떨궜다. 평생 해온 운동을 손놓을 수 없던 탓이다.

체육계 폐쇄성을 깨야 한다. 윗사람 눈밖에 나면 손발이 잘리는 구조를 혁파해야 범죄 재발을 막을 수 있다. '찍히면' 국가 대표에 못 뽑히고 뽑힌다 해도 '푸시'를 받지 못하며 은퇴 후엔 지도자 길이 틀어막히는 현실을 바꿔야 한다.

체육계뿐 아니다. 시민 사회도 함께 보폭을 맞춰야 한다. 올림픽과 같은 국가 대항 스포츠 행사는 그 나라 체육 시스템을 총체적으로 반영한다.

올림픽 정신보다 메달을, 동메달보다는 금메달을 원하는 사회 분위기가 체육계에도 스며들어 있다. 국가와 연맹이 금메달을 원하니 선수들도 '깊은 생각' 없이 유소년 시절부터 올림픽 일등만을 좇으며 뛰어왔다. 빛나는 이는 단 한 명. 이 살벌한 서바이벌 게임을 당연시하며 성장했다. 

시스템 수준이 곧 그 나라 철학 수준이다. 한국 체육계 부끄러운 민낯은 곧 빈곤한 철학을 가리키는 일면이다. 한국 사회는 쭉 그래왔다. 소주 종목을 전략적으로 선택한 뒤 소수 재목을 키워 종합 순위 상승에 신경 써왔다. 특정 분야 특정 기업을 대기업으로 일궜던 한국 현대 경제사와 묘하게 닮았다. 

심석희 사태, 김보름 폭로는 한국 사회 오늘을 비추는 거울일는지 모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