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82년생 김지영' 포스터 및 스틸. 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스포티비뉴스=김현록 기자] 1982년에 태어난 여자, 김지영(정유미)은 현재 전업주부다. 아이를 낳기 전엔 직장인이었다. 그녀의 삶은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창밖으로 떨어지는 노을이 근사한 아파트, 광화문 빌딩으로 출근하는 번듯한 남편, 늘 '엄마'를 찾는 사랑스러운 딸이 있다. 친정도 시댁도 화목하다.

하지만 해가 내려앉는 저녁, 바쁜 일손을 멈추고 잠깐 밖을 바라보던 지영의 가슴은 쿵 하고 내려앉는다. '괜찮다'며 웃는 지영을 바라보는 남편 대현(공유)은 불안하다. 그는 지영도 미처 못 들은 쿵 소리를 먼저 들었다. 그는 안다. 지영이 이따금 다른 사람이 되어 기억하지도 못하는 말을 내뱉는 걸. 지영은 자신을 잃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감독 김도영)은 조남주 작가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했다. 출간 2년 만에 100만 부를 넘긴 베스트셀러다. 흔한 대한민국 여성의 이름 앞에 1982생년이란 시간을 박아넣은 원작은, 이 땅의 여성이 흔히 겪는 에피소드를 한 인물의 삶에 압축시켰다. 작정한 듯 통계까지 집어넣었다. 누군가는 열렬히 지지했고, 누군가는 시시해 했고, 누군가는 못내 불편해 했다. 이른바 '젠더 논쟁'이 불붙었고, 영화 '82년생 김지영' 또한 제작 결정 때부터 격렬한 화제의 중심이 됐다. 정유미, 공유란 핫스타가 가세해 더 뜨거워졌다.

이런 작품일수록 잘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는 기대와 어떻게 만드는지 두고보자는 시선이 함께 쏟아지는 법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82년생 김지영'은 원작의 이야기와 문제의식을 충실히 계승하는 한편 그를 넘어섰다. 독립된 작품으로서 재미와 완성도를 놓치지 않았다.

▲ 영화 '82년생 김지영' 포스터 및 스틸. 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저를 아세요?"

멀쩡해 보이던 지영은 어쩌다 자신을 잃었을까. 괜찮아 보이던 삶은 무엇이 문제였을까. '82년생 김지영'은 그녀 스스로도 잘 몰랐던 이유를 짚어간다. 잃었던 김지영을 찾아간다.

영화엔 숨결과 온기가 있다. '82년생 김지영'은 쉽게 단정하지 않고, 누구 하나 탓하지 않는다. 분노하거나 자조하지 않으며, 강요하지도 않는다. 이건 지영이란 사람을 오롯이 알아가는 과정이다. 카메라의 시선을 따라가다보면 지영과, 지영을 둘러싼 사람들,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세상이 보인다.

영화는 삶이 녹아있는 공간, 각기 살아 숨쉬는 인물들 사이에서 가느다란 숨소리가 느껴질만치 생생하게 지영을 그린다. 세계 일주를 꿈꾸던 어린시절, 성추행을 당해 주저앉아 울었던 고교시절, 커리어우먼 선배를 동경하던 직장생활, 달콤했던 신혼, 고단한 독박육아…. 지영이 겪은 현실과 과거를 오가며 차곡차곡 감정이 쌓인다. 정제된 화면에 세밀하게 담긴 상황을 따라가다보면 다시 지금의 지영에게 도착하게 된다. 그리고 저렇게 사는 82년생 그녀마저도 어쩌다 남의 목소리를 빌려서야 송곳같은 제 이야기를 쏟아내게 됐는지를 목격하게 된다. 

보고 겪어 얻는 공감은 배워 얻은 이해보다 큰 힘을 발휘하곤 한다. 첫 장편을 내놓은 김도영 감독은 그 힘을 아는 듯하다. '82년생 김지영'이 머금은 익숙하고도 온화한 공기는 고요히 스 며 마음을 건드린다. 원작에서 성큼성큼 나아간 후반부와 확연히 넓어진 품은 영화만의 성취다. 가치관과 경험치에 따라 공감의 정도는 다르겠지만, 적어도 우리와 김지영이 같은 세상에 살고 있음을 실감하기엔 부족함이 없을 터다. 이건 82년생만의 이야기도, 김지영이란 여성만의 이야기도 아니다. 그런 공감이야말로 희망일 것이다.

담담한데도 긴장감이 실려 보는 재미가 있다. 대사 한마디 한마디, 에피소드 하나하나 쫄깃하고 실감난다. 플래시백이 잦아도 매끄럽다. 인물의 정서를 담아낸 음악도 돋보인다. 

▲ 영화 '82년생 김지영' 포스터 및 스틸. 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무엇보다 배우들의 공이 크다. 타이틀롤 정유미는 투명할 만큼 '김지영'에게 녹아있다. 영화를 보고 나면 제목이 '82년생 정유미'였나 하고 헷갈릴 정도다. 정유미의 맑은 눈과 말간 얼굴은 아무리 옅은 색도 제 색깔로 담아낸다. 지난 시간을 겹겹이 덧칠해 현재를 완성한 '82년생 김지영'에는 더없는 힘이다. 

남편 대현 역 공유는 절묘하다. 괜찮은 사람과 안 괜찮은 남편의 오묘한 경계를 탄다. 동시에 존재 자체로, 여심을 사로잡은 '도깨비' 공유같은 남편과 사는 아내도 허깨비가 될 수 있음을 역설한다. 지영 어머니 미숙 역 김미경은 강력한 히든카드다. 그녀와 함께 결국 억장이 무너진다.

얼굴 없던 '김지영'에게 숨결과 온기를 불어넣은 건 이들만이 아니다. 지영 동생 지석 역 김성철, 언니 은영 역 공민정, 아버지 영수 역 이얼, 직장동료 혜수 역 이봉련, 외할머니 역 예수정, 그리고 김팀장 역 박성연… 심지어 스쳐 지나가는 단역까지도 촘촘하다. 배우 출신 감독의 안목과 손길이 실감난다.

10월 23일 개봉. 12세 관람가. 러닝타임 118분.

스포티비뉴스=김현록 기자 roky@spotvnews.o.kr

▲ 영화 '82년생 김지영' 포스터 및 스틸. 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