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체육의 '길'을 묻다…정책토론회 국회서 개최
[스포티비뉴스=여의도, 정형근 박대현 기자 / 이강유 영상 기자] 정계와 학계, 체육계 인사가 한데 모여 21세기 한국체육의 새로운 미래상을 제언했다. 학교·생활·전문 체육이 조화를 이루는 정책적 대전환이 이뤄져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체육, 길을 묻다' 정책토론회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국민소통단(홍석준 단장)이 주최하고 국민체육위원회(강신욱 위원장)가 토론을 주관했다.
국민의힘 홍석준 의원은 축사에서 "어떤 정책도 국민이 체감하지 못한다면 '반쪽짜리' 시책이 될 수밖에 없다"며 "동양에서 길은 마땅히 해야 할 방도를 의미한다. 지금 서 있는 자리를 냉정히 살펴 앞으로 어떤 방향의 길을 낼 것인지 깊이 교감하는 토론회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토론회는 한국체육 현안과 과제, 전문체육 육성시스템 제고, 체육계 재원 확충과 한국형 스포츠거버넌스 구축, 지방체육 발전의 주체 등 4개 주제 발표와 빅데이터에 기반한 선순환 비즈니스 모델, 스포츠혁신위, 학교체육 정상화를 논의하는 3개 담론으로 구성됐다.
국내 체육계 현안을 발제한 국민체육위원회 강신욱 위원장은 "현 정부가 학생선수 결석 허용일수를 축소하는 과정에서 반대론자와 충분한 논의를 나누지 못했다"면서 "스포츠분야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할 여지가 있어 재검토 필요성이 크다. 생활체육 표가 아무리 많더라도 정부는 생활·전문·학교체육의 유기적 결합을 꾀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한종우 대한테니스협회 사무처장은 유소년 선수의 진로 불안을 해소하고 전문선수 육성을 위한 공공재원 마련을 역설했다. 진로 탐색을 위한 교육 자료를 국가적으로 제작하고 기업의 후원 장려와 종목단체별 연회비 등에 영재육성진흥기금을 포함시켜 전문 체육인 육성을 위한 재원 확보를 부각했다.
세 번째 발제자로 나선 우상일 전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장은 한국형 스포츠거버넌스 모색을 주제로 발표했다. 정부의 일방행정이 아닌 다양한 사회 기관이 네트워크를 구축해 공동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새로운 국정운영 방식을 주장했다.
고윤흥 태안군체육회장은 지방체육회가 적극성을 높이고 관계부처는 최소한의 개입을 바탕으로 한 '풀뿌리 체육'의 불가피성을 언급했다. "스포츠동호인조직과 지방체육회가 관계부처와 수평적 파트너십을 형성해야 지역 체육의 이상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열린 종합토론 첫 주제는 황한솔 서울시립대 교수가 제의한 '스포츠 참여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선순환 비즈니스 모델'이었다. 포노사피엔스 시대를 맞아 ICT를 활용한 지자체의 생활 스포츠 참여 확대 프로젝트를 건의했다.
"지자체와 제휴해 생활체육 통합 ICT 플랫폼을 만들고 (스포츠 활동) 참여도와 성적에 따라 보상 포인트를 부여하는 시스템 개발 등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이밖에도 최동호 스포츠문화연구소 소장이 내놓은 '스포츠혁신위 활동 평가와 문제점', 이병호 서울체고 교무처장이 발의한 '학교체육 정상화가 답이다'가 토론 주제로 올랐다.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는 "한국 체육이 나아갈 길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하는 시기다. 스포츠는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국민통합에 기여한다. 국민 5000만 명이 모두 체육인이다. 전문 분야에만 100만 명 정도다. 체육인이 자긍심을 갖도록 모든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