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기영. ⓒ곽혜미 기자

[스포티비뉴스=정철우 기자]임기영은 '아시아프로야구챔피언십 2017'(APBC 2017)'에 참가하는 대표팀 투수 중 몇 안되는 선발 요원이다.

선동렬 대표팀 감독은 "임기영의 한국시리즈 선발 경기를 봤다. 젊은 선수지만 전혀 긴장하거나 불안해 하지 않는 투구가 인상적이었다"고 평가한 바 있다.

심지어 좌타자가 강한 일본 타선을 상대로도 좋은 공을 던질 수 있다고 까지 했다. 일본이건 대만이전 중요한 승부에서 선발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임기영만 믿고 갈 수는 없는 노릇이다. 프로야구 경력 3년 이하 선수가 주축인 만큼 대비도 철저히 해야 한다. 좋은 공을 던진다면 더할 나위 없지만 단기전인 국제대회에서 패배는 곧 탈락이 될 수 있다. 조금만 삐끗하면 과감한 교체카드를 꺼내드는 공격적인 교체도 필요하다. 선 감독은 일찌감치 "12명의 투수 엔트리를 충분히 활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선발로 나선 임기영이 잘 던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 박자 빠른 타이밍에 교체하는 것도 신의 한 수가 될 수 있다.

선 감독은 임기영에 대해 완전히 알고 있다고 하기 어렵다. 직접 데리고 써 본 적이 없기에 언제가 나쁜 타이밍인지 알기 어렵다.

그런 선 감독에게 도움이 될 만한 데이터를 찾아봤다. 임기영이 좋았을 때와 나빴을 때의 차이를 살펴보면 그의 교체 타이밍도 찾아볼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일단 폼만 봐서는 임기영이 힘이 떨어졌는지 아닌지를 알기 어렵다.

퀄리티 스타트를 했을 때와 그렇지 못할 때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투구 밸런스에선 약점을 찾기 어려웠다.

릴리스 포인트를 비교해 봤을 때 좋았을 때와 나빴을 때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오히려 안 좋았을 때 타점이 높아지고 길게 던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스피드 차이도 크지 않았다.

일단 패스트볼 구사 비율에 큰 차이가 없었다. 나빠졌을 때 특히 더 많이 던지거나 덜 던지는 구종이 있지는 았았다.

스피드나 회전수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좋았을 때 패스트볼과 나빴을 때 패스트볼의 구속 차이가 거의 없었다. 회전수에서는 오히려 안 좋았을 때 더 많은 RPM을 기록했다.

차이는 타구의 결과에서 나타났다. 좋았을 땐 땅볼 유도가 많았지만 그렇지 않았을 때 뜬 공 타구가 많았다.

임기영의 패스트볼과 체인지업의 투 피치 투수라고 할 수 있다. 좋았을 때 패스트볼은 땅볼 유도율이 48.45%로 가장 높았다. 나빴을 때의 37.04% 보다 훨씬 높았다.

체인지업은 그 차이가 훨씬 커졌다. 

좋았을 때 임기영의 체인지업은 63,16%의 체인지업을 유도해냈다. 반면 안 좋을 땐 절반 이하로 수치가 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임기영의 주무기인 패스트볼과 체인지업이 땅볼을 유도해내지 못하는 상황이 오면 그 때가 교체를 고민해야 할 타이밍임을 알려주는 수치다.

구종에 상관 없이 임기영의 좋았을 때 땅볼 유도가 많은 투수다. 땅볼이 많이 나오지 않는다는 건 임기영의 페이스가 좋지 못함을 뜻한다. 선 감독이 빠르게 두 번째 카드를 꺼내 들어야 하는 타이밍이기도 하다.

과연 임기영이 선 감독의 기대대로 좋은 투구를 하며 많은 땅볼을 유도할 수 있을까. 임기영의 땅볼이 많지 않다면 빠른 교체 타이밍이 필요해 질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