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기의 슈틸리케호. 해결의 실마리는 있나. ⓒ대한축구협회
[스포티비뉴스=유현태 기자] 물러날 곳이 없는 위기다. 시리아전에서 결과만큼 중요한 것은 공격 전개다.

울리 슈틸리케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 팀은 28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A조 시리아와 경기를 치른다. 지난 23일 무기력한 경기 끝에 중국에 충격적인 0-1 패배를 했지만, 시리아가 3위 우즈베키스탄을 1-0으로 꺾으면서 '어부지리'로 2위를 지켰다. 기세가 오른 시리아를 상대하는 이번 경기에선 슈틸리케호가 경기 내용과 결과 모두를 잡아야 하는 상황이 됐다.

슈틸리케호에선 잘되지 않는 것이 2가지 있다. 공격과 수비다. 총체적 난국이란 뜻이다. 그 가운데 근본적인 원인은 공격에 있다. 슈틸리케 감독은 '점유율'과 '주도권'에 중점을 둔 축구를 펼친다. 경기를 주도하면서 상대를 몰아쳐 승리를 따겠다는 것인데, 최종 예선 6경기에서 상대를 몰아친 기억이 없다. 언제나 공격은 답답했고, 공격이 풀리지 않으니 역습에 휘둘리면서 어려운 경기를 했다.

문제 해결의 시작은 세밀하게 약속된 공격 전술이다. 슈틸리케호는 공격을 펼칠 때 선수들이 자기 자리만 지켰다. 당연히 밀집된 중앙으론 공이 투입되지 않았고 수비 외곽만 맴돌았다. 1대 1에 의존해 측면 공격수들을 활용해 공격을 펼쳤고, 중앙에 배치된 선수들과 연계 플레이는 찾기 어려웠다. 상대는 '팀'으로 수비하는데, 한국은 '개인'이 공격했다.

지난 중국전에서도 문제점은 뚜렷했다. 전반 초반 구자철이 정즈를 여러 차례 떨쳐 내고 공격에 활로를 여는가 했지만, 빠른 템포의 패스를 연결할 선수가 없었다. 전술적으로 약속이 되지 않은 듯 다른 선수들은 모두 공이 오길 기다리고만 있었다. 선수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목적의식이 없었다. 한국의 공격은 속도가 떨어졌고, 어렵게 돌파를 한 뒤에도 다시 뒤로 밀려나는 경우가 많았다.

손흥민이 돌아온다고 해도 한국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손흥민이 단독 플레이로 찬스를 내고 득점을 올려 승리한다고 해도 그것은 본질적인 해결이 아니다. 손흥민이 지난 중국전처럼 결장한다면, 또는 부상으로 출전이 어렵다면 한국은 또 중국전처럼 뼈아픈 패배를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답답한 공격을 전술적으로 해결하지 않는다면 손흥민 복귀는 '언 발에 오줌 누기'일 뿐이다.

▲ 월드컵행은 늘 어려웠지만 이렇게 무기력했던 적이 있었을까. ⓒ대한축구협회

답답한 공격은 단순히 무득점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역습의 빌미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공격이 풀리지 않은 한국은 무리한 공격 전개와 패스를 하다가 공을 빼앗겼을 때 위협적인 역습 찬스를 줬다. '점유율' 축구의 특성상 공격 전개 때 수비가 높은 위치까지 전진한다. 역습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또 다른 문제는 선수들의 자신감 저하다. 공격이 풀리지 않으면 선수들은 조급해진다. 심지어 슈틸리케 감독도 서두르다가 중국전을 망쳤다. 김신욱은 중국전 뒤 믹스트 존에서 후반 교체 투입과 함께 "감독님이 골대 앞에서 싸우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후반전 김신욱 투입과 함께 단순하게 긴 패스를 연결하는 이른바 '뻥 축구'를 염두에 뒀다고 볼 수 있다. 슈틸리케 감독조차 중국이 조직적인 수비를 펼치자, 패스 게임으론 득점을 올릴 수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 중국전에서 한국은 전반전에 실점했지만, 경기력은 후반전이 더 부진했다.

시리아 역시 '선 수비 후 역습'을 펼친다. 슈틸리케호의 과제는 똑같다. 세밀한 공격 전술이다. 선수들이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약속이 있어야 한다. 느린 템포로는 시리아의 밀집 수비를 뚫기 어렵다. 지난해 9월 시리아와 첫 맞대결에서도 그랬다. 

패스를 받은 뒤에야 주변에서 선수들이 움직여선 원터치 패스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다. 선수들의 연쇄적 움직임을 조직적으로 묶는 것은 결국 감독의 임무다. 슈틸리케 감독이 파편화 됐던 공격진을 하나의 조직으로 묶을 수 있는지가 중요하지만 과거를 돌아보면 해결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7번째 치르는 시험에서 슈틸리케호는 시리아의 장벽을 넘어야 한다. 우격다짐으로 넘는 것이 아니라, 다음엔 어떻게 장벽을 넘어야 할지 보여야 한다. 현행 체제를 유지하고자 한다면 최소한 변화의 조짐은 있어야 한다. 그럴 수 없다면 새 감독과 러시아행에 도전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 슈틸리케 감독에겐 약 2년 반의 시간이 있었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