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C 'PD수첩'은 21일 방송되는 '연예인과 갓물주' 편을 통해 건물주 연예인들의 특별한 투자 방법을 파헤친다고 예고했다.
최근 스타들의 부동산 재테크 성공 사례가 잇달아 언론에 등장하는 등 건물주가 된 유명인들이 낯설지 않게 됐다. ‘PD수첩’이 한국 탐사저널리즘 센터 데이터 팀과 함께 언론에 보도된 기사를 토대로 유명인 소유의 건물을 조사한 결과, 지난 5년간 건물을 매입한 연예인은 총 55명. 이들은 건물 63채를 매입했으며, 매매가 기준 액수는 4700억 원으로 나타났다.
'PD수첩'에 따르면 이들이 수십, 수백억 대의 건물주가 될 수 있었던 방법은 바로 '대출'. 강남의 한 빌딩 전문 중개 법인에서는 10억으로 50억짜리 건물주가 될 수 있는 방법으로, 은행의 레버리지(대출 효과)를 소개했다. 은행에서 최대한으로 대출을 끌어와 건물주가 될 수 있다는 것인데, ‘PD수첩’은 분석한 몇몇 연예인도 매매가 대비 대출액이 눈에 띄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매매가의 86%가 대출액인 경우도 있었다. 정부의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이렇게 대출을 많이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빌딩 전문 중개 법인에서 추천하는 또 다른 방법은 ‘법인 설립’. 법인에만 있는 세금 혜택들 때문이다. 임대 소득세와 양도소득세가 발생하는 개인과 달리 법인은 법인세로 계산된다. 개인 사업자는 6~42%의 세율을 적용받지만 법인은 대부분 10~22% 사이의 세율이 부과되기 때문에, 약 2배 정도의 '절세'가 가능하다. 'PD수첩'이 확보한 연예인 빌딩의 등기부등본에서도, 빌딩의 소유자가 본인이 아닌 ‘법인’으로 기재된 경우를 찾아볼 수 있고, 해당 법인은 본인 또는 가족이 임원으로 등재되어 있는 이른바 ‘가족 법인’이었다.
‘PD수첩’은 해당 연예인들의 가족법인 실체를 확인했다며, 제도의 맹점을 이용해 합법적으로 절세하는 연예인들의 숨겨진 부동산 투자방법을 낱낱이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
스포티비뉴스=김현록 기자 roky@spotv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