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 8일 열린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5개 종목에서 4개의 금메달을 휩쓸었다. 놓친 하나의 금메달에는 중국의 '반칙 논란'이 있었다. 개인 종목에서 특정 선수를 '밀어주는 듯한' 동작이 나왔다. 그래도 한국의 독주를 막지는 못했다. ⓒ연합뉴스
▲ 한국은 8일 열린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5개 종목에서 4개의 금메달을 휩쓸었다. 놓친 하나의 금메달에는 중국의 '반칙 논란'이 있었다. 개인 종목에서 특정 선수를 '밀어주는 듯한' 동작이 나왔다. 그래도 한국의 독주를 막지는 못했다. ⓒ연합뉴스

[스포티비뉴스=조용운 기자]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에서 동료 밀어주기로 눈살을 찌푸리게 했던 중국 국가대표 쑨룽이 정작 대한민국을 물고 늘어지고 있다. 

쑨룽은 지난 9일 대회 셋째날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쇼트트랙 남자 5000m 결선을 마친 뒤 공동취재구역(믹스트존)에서 한국을 겨냥해 "더럽다! 그냥 더러워!"라고 소리쳤다. 

이를 보도한 중국 매체 '시나닷컴'은 "쑨룽이 한국 선수로 인해 메달을 놓쳐 카메라를 향해 들리라고 불만을 표출했다"며 "쑨룽은 불의에 맞서 감정을 표출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 결과에 대한 항의는 물론이고, 공정한 경쟁에 대한 본질을 이야기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쑨룽의 발언에 중국 쇼트트랙 레전드 왕멍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한국이 하는 쇼트트랙은 얼음 위에서 싸우는 킥복싱"이라며 "오랜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밀고 당기기만 하고 있다"라고 거들었다. 

쑨룽은 남자 계주 5000m에서 박지원의 행동을 지적한 듯하다. 금메달을 놓고 한국과 중국이 레이스 내내 1위를 놓고 다퉜다. 중국의 뒤를 바짝 쫓던 한국은 결승선을 2바퀴 남기고 마지막 주자인 박지원이 중국의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을 따라잡으면서 1위에 올랐다. 

▲ 남자 5000m 계주에서도 반 바퀴를 남기고 순위가 바뀌었다. 중국에 이어 2위를 달리던 한국은 마지막 주자 박지원의 인코스 추월로 선두를 되찾았다. 그러나 결과는 페널티에 의한 '노 메달'이었다. 박지원과 린샤오쥔(임효준)의 접촉이 있었는데 심판진은 리플레이 분석 결과 한국의 '암 블록' 페널티를 선언했다.  ⓒ연합뉴스
▲ 남자 5000m 계주에서도 반 바퀴를 남기고 순위가 바뀌었다. 중국에 이어 2위를 달리던 한국은 마지막 주자 박지원의 인코스 추월로 선두를 되찾았다. 그러나 결과는 페널티에 의한 '노 메달'이었다. 박지원과 린샤오쥔(임효준)의 접촉이 있었는데 심판진은 리플레이 분석 결과 한국의 '암 블록' 페널티를 선언했다. ⓒ연합뉴스

그러자 린샤오쥔도 속도를 높이면서 곡선주로에서 박지원을 추월하려고 했다. 박지원도 선두를 내주지 않기 위해 작은 몸싸움이 있었다. 이 상황에 카자흐스탄이 1위로 올라서면서 어부지리 금메달을 획득했다. 한국은 2위, 중국은 4위로 들어왔다. 

경기 후 심판진은 박지원이 팔로 린샤오쥔의 레이스를 방해했다며 실격으로 처리했다. 중국은 3위로 올라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러나 쑨룽은 박지원의 파울이 아니었다면 중국이 금메달도 가능했다면서 막말의 수위를 높였다. 

더불어 남자 1000m에서 박지원에게 졌던 부분에 앙심을 품은 것으로도 보인다. 당시 박지원과 쑨룽은 마지막 바퀴에서 순위 싸움을 했다. 쑨룽이 균형을 잃고 넘어져 장성우가 금메달, 박지원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쑨룽은 다시 일어나 결승선을 통과했으나 5위에 그쳤다. 

이 장면은 아무 문제가 없었다. 쑨룽 혼자 코너를 지나 직선 주로에서 중심을 잃었다. 오히려 쑨룽이 다른 바퀴에서 인코스로 뒤따르던 한국 선수의 얼굴을 가격하는 장면이 잡히기도 했다. 실격 처리를 당하지 않은 걸 다행으로 여겨야 했다. 

뻔히 느린 그림으로 진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쑨룽은 "우리는 한국의 거친 생각을 과소평가했다. 나를 민 사람은 박지원이다. 그런데 심판은 공동 책임이라고 했다. 그러면 반칙이 없는 건가"라고 이상한 논리를 폈다. 

▲ 끝까지 리플레이를 지켜보던 이정수와 박장혁은 결과가 나오자 허탈한 듯, 또 한편으로는 예상했다는 듯 웃어버렸다. 경기 직후 인터뷰에서 박지원은 "그동안의 노력들이 많이 떠올랐다. 중국에는 남녀 각각 6명의 선수들이 왔지만 아시안게임 직전 대표팀에서 많은 파트너 선수들이 도와줬다. 그 선수들의 도움 덕분에 이번 아시안게임을 잘 마칠 수 있었다 ⓒ연합뉴스
▲ 끝까지 리플레이를 지켜보던 이정수와 박장혁은 결과가 나오자 허탈한 듯, 또 한편으로는 예상했다는 듯 웃어버렸다. 경기 직후 인터뷰에서 박지원은 "그동안의 노력들이 많이 떠올랐다. 중국에는 남녀 각각 6명의 선수들이 왔지만 아시안게임 직전 대표팀에서 많은 파트너 선수들이 도와줬다. 그 선수들의 도움 덕분에 이번 아시안게임을 잘 마칠 수 있었다 ⓒ연합뉴스

 

정작 동계아시안게임이 공식적으로 반칙왕으로 삼은 건 쑨룽이다. 앞서 열린 남자 500m 결선에서 자신이 금메달을 딸 수 없을 것 같자 동료인 린샤우쥔을 밀어주는 이해못할 장면을 연출했다. 마치 계주에서나 할 법한 엉덩이 밀기를 시전했고, 린샤오쥔은 속도에 탄력을 받아 박지원을 막판에 제치고 금메달을 따냈다. 

명백한 파울이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 규정 295조 2항은 "쇼트트랙 선수들이 경기 중 동료로부터 도움을 받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해당 행위에는 제재를 가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이때도 심판은 쑨룽에게 페널티를 주지 않았다. 별다른 조처를 취하지 않은 걸 다행으로 여겼어야 할 쑨룽은 자신의 반칙성 플레이는 돌아보지 않고, 한국을 공격하면서 책임을 미루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