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티비뉴스=조용운 기자] 바이에른 뮌헨은 김민재(29)의 부상 소식을 대한축구협회에 전달했다. 10월 A매치 소집 여부는 이제 축구협회 결정에 달린 모양새다.
김민재는 5일(이하 한국시간) 프랑크푸르트 도이체 방크 파크에서 열린 2025-26시즌 독일 분데스리가 6라운드 프랑크푸르트 원정 경기에 결장했다. 교체 명단에는 이름을 올렸으나 끝내 출전하지 못하고 벤치를 지켰다.
예상됐던 수순이다. 바이에른 뮌헨은 경기 전 김민재의 부상 소식을 알렸다. 나흘 전인 지난 1일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피르 페이즈 파포스FC(키프로스)와 2차전에서 중앙 수비수로 뛴 뒤 발과 어깨에 통증을 호소한다고 설명했다.
김민재의 부상 소식과 관련해 '바이언 앤드 저머니'는 "김민재가 발뿐 아니라 견봉쇄골 관절낭에도 부상을 입었다”며 “현재 어깨와 발의 통증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축구협회가 이미 김민재의 신체 이상에 대한 통보를 받은 상태”라며 A매치 소집 불투명설을 덧붙였다.
바이에른 뮌헨이 김민재의 몸상태 이상을 알린 뒤 공식경기에 출전시키지 않은 점에서 정상 컨디션은 분명 아닌 것으로 보인다. 그런 김민재를 아시아까지 장거리 이동을 시키는데 회의적인 입장을 프랑크푸르트전 결장으로 보여줬다는 분석이 따르는 이유다.

근래 바이에른 뮌헨이 보여준 행동을 보면 A매치 이후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 데어 클라시커 더비가 바로 이어지고 챔피언스리그 일정까지 앞두고 있어 김민재를 아끼려는 판단으로 보인다. 그래서 축구협회에 몸상태를 전달하며 소집해제를 바라는 듯하다.
자연스럽게 홍명보호가 다시 불안에 빠졌다. 김민재의 부상 악재 시점이 참 민감하다. 오는 6일부터 소집 훈련을 시작하는 대표팀은 10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삼바군단' 브라질과 A매치를 펼친다. 불과 닷새를 앞두고 터진 김민재의 부상 소식이기에 뼈아프다.
처음 있는 일이 아니기에 일각에서는 바이에른 뮌헨의 태도를 곱게 보지 않는다. 김민재의 A매치 차출을 피하기 위한 의도적 부상 관리 아니냐는 지적이다. 김민재는 대표팀 소집 때마다 장거리 비행과 시차 적응으로 피로가 누적됐다. 그로 인해 홍명보 감독과 바이에른 뮌헨이 신경전을 펼치기도 했다.

이미 지난 3월 비슷한 경험을 했다. 그때도 김민재는 아킬레스건염이 악화돼 대표팀 명단에서 빠졌다. 당시 홍명보 감독은 “소속팀에서 예방 차원의 관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며 바이에른 뮌헨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이후 김민재가 A매치가 끝난 직후 곧바로 뮌헨 복귀전을 치르자 대표팀 경기만 피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바이에른 뮌헨 측도 불편한 심기를 노출했었다. 당시 '바바리안 풋볼'은 "김민재 아킬레스건 통증을 참고 뛰고 있다는 여러 보고와 언급에도 홍명보 감독은 계속해서 그를 대표팀에 소집했다"며 "장거리 이동과 비행시간, 그리고 더 많은 스트레스를 몸에 가했다. 결국 10월과 11월 A매치 기간에 김민재는 독일과 한국, 중동을 오가며 강행군을 해야 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민재가 부상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다른 재능 있는 선수를 찾아봐야 했다"라며 "페예노르트의 황인범도 몇 주간 부상으로 결장했음에도 의문스럽게 대표팀에 소집됐다"라고 홍명보 감독을 향해 꽤 강하게 공격했다.

앙금이 남아있는 관계이기에 이번 부상 발표가 그때와 겹치며 의혹이 다시 고개를 든다. 대표팀 입장에서는 김민재가 합류하지 못하면 완성도 점검에 차질이 생긴다. 홍명보 감독은 내년 북중미 월드컵에서 강호를 상대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리백을 선택했다. 8월 동아시안컵에 이어 9월 미국, 멕시코전 모두 스리백 전술을 사용했다.
이들보다 더 강한 상대로 평가받는 브라질, 파라과이전은 스리백의 장단점 및 과제를 여실히 확인할 무대다. 그런데 핵심인 김민재의 결장 가능성이 커지면서 수비 라인의 균형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
축구협회의 판단이 남았다. 대표팀 입장에서는 김민재의 상태를 직접 보고 결정하고 싶을 수 있다. 다만 정말 장거리 이동이 어려운 몸상태라면 국내로 부르는 게 화를 키울 수도 있다. 어느 결과든 김민재가 이번에도 대표팀 유니폼을 입지 못한다면 홍명보호는 수비라인을 점검할 최고의 기회를 살리지 못하게 된다.

관련기사
- 대한민국 유일 '제2자유로' 달린다...‘손기정평화마라톤’ 11월 16일 개최
- 김수현 반격 시작, 일기까지 공개 '초강수'…"故김새론에 감정 없어"
- 진미령, '전남편' 故전유성 별세 후 근황…귀국→동료들 급만남
- 김연정♥하주석, 12월 결혼…한화 이글스 사내부부 탄생
- 김나영, ♥마이큐와 열애 4년 만에 재혼 발표 "용기 냈다"…두 子도 "좋아요"[종합]
- 김수현 측 "故김새론 투샷, 2016년 아닌 2020년…경위 상세히 못밝혀"
- '전처' 진미령, 故전유성에 弔花만 보낸 이유…사실혼 딩크족 생활도 '재조명'
- 故전유성, 영정으로 오른 '개콘' 단독무대…웃고 울며 보내드린 마지막 길[종합]
- 이동건, 희귀 질환 최초고백 "원인 불명+완치 불가능"(미우새)
- 강남, 길버트 증후군 투병중이었다…♥이상화 철저관리 덕분에 호조[TV핫샷]
- 이채민, '폭군의 셰프' 타고 첫 亞팬미팅 투어…청량미 물씬